청년들에 대한 세제 혜택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일단 청년 세법에서 청년이라고 하면 어떤 사람들을 말할까요?
만 34세를 기준으로 청년을 판단합니다.
여기서 이제 남성분들 같은 경우에는 군대를 다녀오시니, 여기에 군대를 다녀온 기간을 합산해가지고 계산을 해줍니다.
예를 들어서 34세를 청년으로 한다면, 군대를 2년 동안 갔다 오기 때문에 36세까지는 청년으로 봐주는 겁니다.
일단 저희가 첫 번째로 준비한 청년에 대한 세제 혜택 첫 번째가 청년 우대형 주택 청약 저축입니다.
이게 당첨만 되면은 좀 큰돈을 벌 수 있다는 그런 말들이 막 돌아가지고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모이다.
보니까 로또 청약이다. 이런 말도 생겨나기까지 했습니다.
그만큼 경쟁이 좀 치열하고 당첨 확률은 그만큼 떨어진다....
이렇게 되는 내용이겠죠.
하지만 청약 통장이라고 하는 거는요 기본적인 소득공제와 더불어서 여러 가지 세제 혜택이 좀 있기 때문에 청약통장을 가입하셔 가지고 구입을 하시는 것을 추천을 드립니다.
그중에서도 이 청년 우대형 주택 청약 저축 같은 경우에는 청약을 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어떤 그런 통양 통장이기도 하지만, 저 해당 저축에서 2023년 12월 31일까지 이 저축을 가입하는 경우에는 해당 저축에서 발생한 이자 소득에 대해서 최대 500만 원까지 소득세를 부과하지 않겠다는 세제 혜택을 두고 있습니다.
아래에 이제 요건들을 충족을 좀 해야 되는데요.
1. 가입 당시에 청년이어야 된다.
2. 무주택인 세대주여야 된다
3. 직전 연도의 총 급여액이 3600만 원 이하인 근로자이거나 또는 직전 연도 종합소득 금액이 2600만 원 이하인 사업소득자여야 한다.
저축에서 발생하는 이자 소득 500만 원까지는 비과세가 된다라는 개념입니다. 계약 기간은 2년 이상이어야 된다 이런 요건들이 좀 있습니다.
급여나 이제 종합소득금액 요건 같은 경우에는 2021년도까지는 총급여액은 3천만 원이었고, 종합소득 금액 같은 경우에는 2천만 원이었는데 이게 2022년부터 3600만 원 그리고 2600만 원으로 인상되었다는 점도 같이 설명을 드립니다.
두 번째가 청년형 장기 집합 투자 증권 저축에 대한 소득공제 내용입니다.
이 상품에 2023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하는 경우에는 그 계약 기간 동안 납입한 금액의 최대 40%까지 종합소득금액에서 공제를 해줍니다.
즉, 이제 세금을 낼 때 이만큼 소득공제를 해준다는 개념이에요.
다만 다음의 요건을 충족해야 되는데요.
1. 당연히 청년형인 만큼 이제 총급여액 5천만 원 이하 종합소득 금액이 3800만 원 이하인 청년이 가입을 해야 된다
2. 총 급여액 8천만 원 또는 종합소득금액이 6700만 원 초과하는 연도에는 소득공제를 배제한다.
세 번째로 준비한 내용이 청년희망적금이라는 세제 혜택을 들고 왔습니다.
이 내용은 2022년도에 새롭게 들어온 그런 내용입니다~
2022년 12월 31일까지 이 청년 희망 적금에 가입을 해서 하는 경우에는 2024년 12월 31일까지 갖게 되는 이자 소득에 대해서는 소득세를 부과하지 않는다라는 혜택을 주겠다고 하고 있습니다.
비과세 청년 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요건을 좀 보면,
이것도 총급여액하고 종합소득 금액에 대한 기준 요건이 좀 있어요.
일단은 총 급여액은 직전 연도 기준으로 3600만 원 이하여야 되고, 종합소득 금액도 직전 연도 기준으로 2600만 원 이하인 경우 그리고 1명당 1개만 가입할 수 있는 계좌여야 됩니다.
납입 한도가 연 600만 원 이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지만이 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해 두셔야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준비한 청년에 대한 세제 혜택 그중에 마지막이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입니다.
중소기업의 취업 활성화 지원 그다음에 청년층 그 이외에 노년층 장애인, 경력 단절 여성의 취업 장년을 위해 가지고 마련해 놓은 세제 혜택인데요.
그중에서 저희는 이제 이번에는 청년에 대해서 설명을 좀 드리는 거니까 이 청년의 경우에는 취업일로부터 5년까지 근로소득에 대해서 소득세 한 90%까지를 감면을 해줍니다.
단 감면액은 150만 원 한도로 두고 있습니다.
이거 같은 경우에는 이런 요건들을 좀 갖추면 됩니다.
일단 중소기업에 취업을 해야 되는 거고요 그다음에 청년이어야 하겠죠.
그리고 해당 취업자가 다음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자여야 한다 첫 번째가 일용직이 아니어야 되고요 임원이 아니어야 됩니다. 그다음에 해당 법인이라면 그 법인의 최대 주주의 친족이 아니어야 합니다.
이런 여러 가지 요건들 이런 요건들을 충족하는 취업자에 한해서 이렇게 소득세 감면의 요건을 혜택을 준다.
그 부분을 알고 계시면 될 것 같아요.
그리고 이런 중소기업 취업자에 대한 소득세 감면을 적용받으려고 하시면 해당 취업자가 내가 이 회사에서 근로소득을 받고 있다는 거를 회사에 요청해서 감면 신청을 넣어야 됩니다.
감면 신청을 넣는 경우에 한해서 이제 이 해당 혜택을 받을 수 있다라는 점 꼭 회사한테 말씀을 좀 해주셔야 되는 거예요.
이렇게 총 4가지의 청년들을 위한 세제 혜택을 설명드려봤습니다.